공부 내용 올리며 언급된 주식은 매수, 매도 추천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이 핵심입니다.
> 지금까지 뉴스 중에 가장 구체적인 시점 제시한 것 같습니다
=========================
~ 중국 정부는 9일 중국인의 한국행 단체여행 금지 조치를 해제하겠다는 의사를 한국 측에 전달했다
~ 단체 관광 재개 시점은 오는 11일부터로 알려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298322?sid=104
📮[메리츠증권 유틸리티/건설 문경원]
▶Vestas 2Q23 실적 발표 주요 내용 정리
✓ 2Q23 실적
- 매출 34.3억 달러(+3.8% YoY), 영업이익 -0.68억 달러(적축 YoY)
- 풍력 수주: 2.33GW(+8.4% YoY, -29.4% QoQ)
✓ 2023년 가이던스
- 매출: 140~155억 달러(이전과 동일. 서비스 매출 전망은 기존 전망 5% 대비 개선된 10% 성장 전망)
- 영업이익률: -2~3% (이전과 동일)
- 총 투자: 10억 달러(이전과 동일)
✓ 컨퍼런스콜 주요 코멘트
- 공급망 차질은 남아있으나, 운송 부문을 중심으로 확실히 개선 중
- 인허가 문제는 계속해서 걸림돌로 작용
-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 비합리적인 전력(PPA) 가격이 걸림돌로 작용 중. 오른 원가와 금리 수준을 반영해주지 않은 프로젝트들이 있음. 아직 취소되는 프로젝트 많지 않으나 가능성 있음
- 미국 수주는 확실히 하반기로 갈수록 개선 중. 향후 수요 상승에 대비해 증설도 진행 중
- 지금 터빈 가격 수준에 대해선 만족 중
- 터빈 기술 문제는 없다. 충당금 인식 규모 낮아지는 중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사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합니다. 번역에 오류 있을 수 있음에 유의 바랍니다.
미국 변압기 수입 국가별 비중
https://blog.naver.com/tosoha1/223178790964
지멘스, 풍력 터빈 수주 급증
-육상 터빈 불량문제로 대규모 손실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기 터빈 수주 전년 대비 89% 급증
-육상 터빈 수주는 0.7GW로 전년비 40% 감소했으나, 해상 터빈 수주는 4.8GW로 전년비 178% 급증
-해상풍력 시장의 호황이 다가오고 있다는 반증
-내년부터 시작되는 씨에스윈드의 지멘스향 해상 타워 장기 계약의 가시성이 높아져
인도네시아는 혼외 성관계 하다 걸리면 감옥행이라는 법이 통과되었다네요.
인도네시아 발리는 그럼 어케하냐
외국인들 반발이 심해서 외국인들은 빼줬다고ㅋㅋ
https://v.daum.net/v/20230809144203062
차량용 디스플레이 OLED로 '대전환'···아우디 초대형 발주 나온다
(23.8.9)
ㅁ 아우디
- 자사 중형 세단 A6와 A7 적용목표로 대규모 OLED 패널 발주추진
- 최소 250만대
- 27년부터 4년간 탑재할 물량
- 현재 전 세계 차량용 OLED 출하량 100만대 수준
- 30인치대 OLED 패널
- LG와 삼성 최고경영진까지 수주위해 각별히 챙기는중
ㅁ 차량용 OLED
- 현대차 : 내년출시 제네시스에 24' 27' OLED탑재
- 포르쉐 : 내년 신모델에 12' 14' OLED 탑재예정
- 벤츠 : 주요차종 OLED 탑재 늘리는 중
50인치대 필러투필러 디스플레이 적용
- 페라리 : 슈퍼카에도 OLED탑재
ㅁ 옴디아
- 올해 148만대, 27년 917만대(6배. 연평균성장률 44%)
#OLED #차량용 #아우디
자사주는 신탁계약은 강제성이 없고 위에 취득결정은 강제성이 있습니다. 후자가 취득 의지가 더 있다는 것이겠죠.
Читать полностью…2023.08.09 14:17:25
기업명: 씨에스윈드(시가총액: 2조 9,22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 4,155억(예상치: 4,616억)
영업익: 418억(예상치: 410억)
순익: 206억(예상치: 284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3.2Q 4,155억 / 418억 / 206억
2023.1Q 3,505억 / 245억 / 81억
2022.4Q 4,141억 / -66억 / -95억
2022.3Q 3,231억 / 202억 / 2억
2022.2Q 3,275억 / 193억 / 5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9800218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58078
원가가 개선됩니다
미국에 회사가 있거나, 중국 대신 대안이 될만한 곳에 회사가 있는 게 좋겠죠.
Читать полностью…고객의 힘이 크면 난감하죠. 단일 고객사가 요청해서 증설하는 건 양날의칼입니다. 그럴수록 의존성이 커지게 되는데, 고객은 거기서 가격인하 등 마진을 챙기거든요.
Читать полностью…https://m.blog.naver.com/cybermw/223178332155
Читать полностью…"中, 美 수출규제 전 엔비디아 A800 칩 6조 원어치 구매 주문"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생성형 인공지능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고성능 반도체인 그래픽처리장치 A800 칩을 50억 달러, 우리 돈 6조6천억 원어치를 사겠다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통신은 현지시간 9일 파이낸셜타임스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바이두와 텐센트, 알리바바 그리고 소셜미디어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10억 달러, 우리 돈 1조3천억 원어치의 A800 칩 10만 개를 엔비디아에 주문해 올해 내로 받을 예정입니다.
이들 기업은 내년에도 40억 달러, 우리 돈 5조3천억 원어치의 A800 칩을 구매하는 계약을 엔비디아와 이미 체결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습니다.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는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금지하고 AI,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는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조치에 엔비디아는 기존 그래픽처리장치 칩 A100보다는 성능이 다소 낮지만 수출 규제에는 걸리지 않는 A800 칩을 대중국 수출용으로 개발해 생산해 왔습니다.
기존 A100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규제 대상에 포함되는 초당 600기가바이트이지만 A800은 초당 400기가바이트로 A100보다 낮습니다.
https://www.ytn.co.kr/_ln/0104_202308100921515577
셀시우스 미친 어닝서프, 체중조절 메가트렌드
작성: 버프 텔레그램 /channel/bufkr
ㅁ 셀시우스?
- "마시고 운동하면 살이 빠지는 음료"로 알려져, 미국에서 슈퍼 성장주 & 소비재 브랜드인 셀시우스 홀딩스 CELH
- 이제는 미국 뿐 아니라 글로벌로도 펩시 유통망 타고 빠르게 확장 중
ㅁ 실적?
- 매출 $326mn 컨센서스 18% 상회, +112% yoy
- 순이익 $0.52 컨센서스 82% 상회
- 미친 서프로 20프로 갭상승 마감
ㅁ 버프팀 생각
- 코로나 이후 확찐자들의 급증, 자기 몸을 아름답게 가꾸는 오운완이나 갓생 트렌드는 부정할 수 없는 전세계적 메가트렌드
- 위고비와 마운자로처럼 약물로 체중조절 하는데 관심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운동과 식습관으로 살을 빼고싶은 훨씬 많은 잠재수요가 존재한다는 것을 반증
ㅁ 관심 종목
- 어제 큰 실적 미스가 아쉬우나, 케어젠 프로지스테롤도 글로벌 흥행 가능성을 중장기로 지켜보는 이유
- 헬스장엔 반드시 놓이는 인바디
- 글로벌리 과점된 연속혈당측정 시장에 진출하는 아이센스 역시 중장기 히어로가 될 가능성
ㅁ 같이보면 좋은 자료
셀시우스 간단 분석
/channel/bufkr/5783
코카콜라 펩시의 에너지드링크 전쟁
/channel/bufkr/5789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181501?cds=news_edit
Читать полностью…DI동일은 오랜만에 반등을 했습니다.
이번 한주 DI동일 소액주주운동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일이 있었습니다.
1. 최근 많은 분들이 DI동일의 자기주식신탁계약에 대해 언급해 주셨습니다.
이에 DI동일 소액주주연대는 이번주 월요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감독원에 해당 내용에 대한 민원을 제기하였습니다.
관련 결과가 나오면 공유드리겠습니다.
2. DI동일 소액주주연대는 최근 여러 기관들과 미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의미한 대화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만약 협의가 잘 진행될 경우, 상당한 비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비용 집행시 집행 내역 및 계약서를 모두 소액주주연대 카페를 통해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3. DI동일 사측과 조만간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며 다음주까지 주주명부를 이메일로 받기로 하였습니다.
오랜만에 DI동일의 주가가 좋은 흐름을 보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기본가치 대비 주가는 매우 저렴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https://youtu.be/sIRpjGF4dS8
새로운걸 많이 알게되었네요. 감사
#슈카월드
https://m.blog.naver.com/cybermw/223178955696
국가차원에서 전력망 관리 의지 피력
솔브레인, '삼성이 찜한' 디엔에프 인수 추진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8084025i
2023.08.09 13:49:22
기업명: 서진시스템(시가총액: 5,881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결정)
* 보통주
수량 : 1,321,004(200억원)
시가총액 대비 : 3.40%
* 우선주
수량 : -(-원)
시가총액 대비 : -%
취득목적: 주가안정을통한주주가치제고
취득방법: 장내취득
중개업자: 유안타증권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900022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78320
⚡️전선산업 스터디 (1) (feat. IR협의회 대원전선 리포트)
작성: 피카츄 아저씨 텔레그램 (t.me/pikachu_aje)
[내용]
1. 전선사업의 특징
1) 대규모 장치산업: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설비효율에 따라 시장경쟁력이 결정됩니다.
2) 다품종 다규격 제품 산업: 종류가 2만 5천여 종으로 세분화될 만큼 다양하고, 제품 개발 능력이 우수한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이 집중화됩니다.
3) 높은 원재료 비중: 원료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구리가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다시 말해, 전기동가격과 회사의 수익성과 연동됩니다.
4) 높은 내수 비중: 내수 비중이 높아, 한국전력의 송배전망 구축 투자 정책에 영향을 받습니다. LS, 대한, 가온, 일진전기 Big 4는 내수비중이 60% 이상이고, 규모가 영세할수록 내수 비중이 커집니다.
2. 주요 원재료 및 업체
1) 주요 원재료: 전기동
2) 전기동 가격은 국제 LME시장 상황에 연동되고, 원재료인 Cu Rod는 LS전선, 대한전선, KBI메탈 등에서 조달합니다.(대원전선 기준)
3. 국내 전선 시장 현황
- 약 60여개사가 경쟁하고 있고, Big 4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합니다.
참고. 전기본에 의한 여파 확인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한전은 2036년까지 향후 15년간 총 56.5조원을 송변전 설비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 전선은 3.5만km의 160% 수준인 5.8만km까지, 변전소는 895개에서 1,228개까지 확대 예정입니다.
📌 결론: 전선산업은 장치산업 + 원재료 비중이 큰 산업 + 내수 위주
- 전선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이고, 원재료 비중이 큰 것으로 확인됩니다. 국내에서 수요확대는 확인되지만, 내수 시장 경쟁이 치열한 만큼 해외에서 매출 성장을 이뤄내고, 부가가치 창출이 되는 제품이 있는 회사를 찾아야겠습니다.⚡️
💬 2편에서는 원자재가와 매출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또 Buy American 여파는 없는지, OPM을 높이기 위해선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해외 수주를 뚫은 곳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훑어볼 예정입니다.
💬 지금 당장에는 HVDC케이블이 있는 LS전선과 대한전선만 생각나는데, 추가적으로 공부해보겠습니다.
[작성] 피카츄 아저씨 ⚡️
[제보] 피카츄 제보함
🌩️도움되셨다면 스파크⚡️부탁드립니다!
🌩️제보는 위의 피카츄 제보함을 통해 소통하고 있습니다. 구독자 분들의 의견으로 더욱 짜릿한 콘텐츠로 찾아 뵙겠습니다.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투자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농가묵자?
그런데 배터리 업체의 고객사인 미국 내 완성차 업체에서 배터리 기업들에 보조금 공유 요청을 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더구나 합작공장도 아닌 배터리 기업이 독자적으로 세워 운영 중인 단독공장에 적용되는 보조금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일본 파나소닉이 최대 고객사인 테슬라와 보조금의 절반을 공유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기업들도 완성차 기업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https://v.daum.net/v/20230806064502056
https://www.youtube.com/live/hzSwCkN2ulk?feature=share
이런 건 첨 알았네요.